서울시에서 지원하는 꿈나래 통장이란, 자녀의 교육비를 마련하여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교육적 성장을 지원하는 자산형성 지원사업 입니다. 꿈나래 통장에 가입한 후 3년 혹은 5년간 매원 5~12만원을 금액을 저축하면, 저축한 금액에서 동일금액~50% 정도의 금액을 서울시 예산과 시민후원금으로 추가 적립하여 지원해준다고 합니다.
서울시 꿈나래 통장 신청 대상 및 지원자격
모집 인원 | 10,000 명 |
신청 기간 | 2023년 6월 12일 ~ 6월 23일 6:00시까지 |
신청 자격 | - 서울시 거주 - 만 14세 이하 아동을 양육하는 만 18세 이상 친권자 - 중위소득 80% 이하인 가구 |
신청 방법 | [방문] 주소지 동주민센터 방문 [우편] 접수마감시간까지 동주민센터 도착 우편물 접수 [이메일] 접수마감시간까지 동주민센터 담당자 메일함 접수 |
서울시 꿈나래 통장 모집인원은 2023년은 지난해에 비해 더 많은 청년들의 혜택을 위해 모집인원을 3000명 늘렸다고 합니다. 또한 이전 조건이었던 가구 구성원 중 1명만 참여 가능하다던 조항과 4천만원 이상일 경우 신청하지 못한다던 조항을 삭제하여 더 많은 사람들에게 지원이 가능하도록 범위를 확장하였다고 합니다. 따라 총 10,000명의 인원이 신청 가능합니다. 신청 자격으로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시민인 만 14세 이하 아동을 양육하는 만 18세 이상의 친권자 혹은 중위소득 80% 이하인 가구에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단, 3자녀 이상일 경우는 90% 이하까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신청 기간은 2023년 6월 12일부터 6월23일까지 가능합니다. 꿈나래 통장은 온라인을 제외한 세가지 방법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주소지에 해당하는 동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직접 신청할 수 있고, 저수마감시간짜기 도착하는 우편물에 한해서 접수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는 접수마감시간까지 동주민센터 담당자의 메일로 직접 신청서를 전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총 300명을 산정하여, 서류 심부와 소득 및 재산조사, 신용 조회 확인 단계를 거쳐 10월13일 최종 지원자 발표가 된다고 합니다. 당선한 지원자는 11월부터 저축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꿈나래 통장 지원 내용
서울시 꿈나래 통장은 두가지의 형태로 지원내용이 나누어지는데, 생계/의료급여수급자와 주거/교육급여수급자 및 비수급자로 기준을 나누어 지원됩니다.
생계/의료 급여 수급자의 경우 월에 적립가능한 금액을 5만원, 7만원, 10만원 중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른 매칭지원금은 본인 저축액과 동일한 금액이 매월 적립됩니다. 주거/교육급여 수급자 및 비수급자의 경우는 월에 5만원, 7만원, 10만원 중 선택할 수 있으며 3자녀 이상인 경우 12만원까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른 매칭지원금은 본인 저축액의 50%가 매월 적립됩니다. 지원자는 36개월(3년) 혹은 60개월(5년)의 약정기간 중 선택하여 저축을 진행하면 됩니다.
꿈나래 통장 적립금 총액
생계/의료 급여 수급자는 5만원씩 3년 - 총36만원, 5만원씩 5년 - 총600만원, 7만원씩 3년 - 총 540만원, 7만원씩 5년 - 총 840만원, 10만원씩 3년 - 총720만원, 10만원씩 5년 - 총1200만원 의 적립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주거/교육급여수급자 및 비수급자는 5만원씩 3년 - 총 270만원, 5만원씩 5년 - 총450만원, 7만원씩 3년 - 총 378만원, 7만원씩 5년 - 총630만원, 10만원씩 3년 - 총540만원 의 적립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꿈나래 통장 지원자 의무사항
꿈나래 통장 지원자 의무사항으로는 적립기간 동안 서울에 거주해야하며, 적립기간 동안 금융교육을 년에 1회 이상 이수해야합니다. 또한 적립기간 동안 참가아동 양육을 이행하며 기타 약정 내용을 위반하지 않고 성실히 이행해야 합니다.
이상 꿈나래 통장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았습니다. 미래의 자녀를 위해 한번 지원해보는게 어떨까요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업급여 규정, 금액 변경 개편안 살펴보자 ! (0) | 2023.07.06 |
---|---|
'알뜰 교통 플러스 카드' 할인 정리, 신청방법 알고 교통비 받자! (0) | 2023.07.05 |
2023 문화누리카드 신청대상, 사용처, 발급방법 (0) | 2023.07.05 |
2023 한전 에너지 캐시백 으로 돈벌기 (1) | 2023.07.04 |
장애인 평생교육이용권 지원 (0) | 2023.07.03 |